콘텐츠 제작에 도움이 필요하세요? 제작 패키지 살펴보기

[런드리고] 출근길 3분 콘텐츠가 만든 자연스러운 전환

스모어 콘텐츠를 통해 신규 앱 유저를 유입시키고, 세탁 서비스에 대한 고객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었다는 런드리고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보았습니다.

[런드리고] 출근길 3분 콘텐츠가 만든 자연스러운 전환

‘바쁘다 바빠 현대 사회’의 세탁 걱정을 덜어내고 일상에 여유를 더해주는, 런드리고

런드리고는 세탁소에 다녀올 시간마저 아까운 현대인들의 삶의 윤택을 높여주는 것을 목표로 탄생했습니다. 문 앞에 세탁물을 내놓기만 하면, 수거부터 세탁, 배송까지 전 과정을 대신해주고 있죠. 이런 서비스의 편리함을 보다 효과적으로 알리고 바쁜 일상 속 세탁 고민을 가진 사람들에게 자연스럽게 다가가기 위해, 런드리고는 새로운 시도를 시작했습니다. 스모어로 제작한 인터랙티브 콘텐츠와 함께 말이에요! 

스모어 콘텐츠를 통해 신규 앱 유저를 유입시키고, 세탁 서비스에 대한 고객에 대한 인사이트도 얻을 수 있었다는 런드리고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 보았습니다. 🙂

ⓒ런드리고


런드리고가 잠재고객의 일상에 녹아드는 방식

“바쁜 현대인들에게 자연스럽게 런드리고가 노출되는 콘텐츠를 만들고 싶었어요”

런드리고는 바쁜 20·30대 직장인들이 주로 모바일로 콘텐츠를 소비한다는 점에 착안해, 모바일에 최적화된 인터랙티브 콘텐츠를 기획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익숙한 ‘유형 테스트’ 형식을 활용해 출퇴근 길에도 플레이를 해볼 만큼 부담 없는 참여를 이끌어 내고, 궁극적으로 서비스 인지부터 앱 설치까지 이어지는 자연스러운 전환을 목표로 했죠.

“고객 스스로 런드리고의 필요성을 느끼도록 메시징 했습니다.”

런드리고의 콘텐츠에는 출근 준비, 동료와의 대화, 주말 루틴 등 실제 직장인들이 고민할 법한 소재가 듬뿍 녹아 있었습니다. 마치 한 편의 웹툰을 보는 듯한 구성 덕분에 유저들은 콘텐츠 속 내러티브에 공감하며 완전히 몰입할 수 있었어요. 이렇게 유저들이 몰입했을 때 즈음, 세탁 문제를 자연스럽게 언급하면서 런드리고 서비스의 필요성을 고객 스스로 느낄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런드리고가 스모어로 마케팅 콘텐츠를 만든 이유

“스모어는 콘텐츠 제작부터 성과 측정까지 모두 가능해, 빠른 실험을 도와줬어요”

마케팅 콘텐츠는 콘텐츠를 접한 사람들의 반응과 행동을 구체적인 수치로 측정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런 데이터를 일부라도 확인하기 위해선 다른 툴과의 별도 연동을 해야 한다는 불편함도 있죠. 성과를 명확하게 알아내야 더 임팩트 있는 넥스트 스텝의 마케팅을 기획할 수 있는 만큼 콘텐츠 관련 데이터 측정은 중요한데요. 스모어는 바로 이 지점을 정확히 해결해주었습니다.

스모어는 콘텐츠 내부에 전환 유도 장치를 자유롭게 설계할 수 있었던 것은 물론, 그에 따른 클릭률이나 문항별 반응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덕분에 런드리고는 퍼널 중심의 기획이 가능했고, 마케팅 콘텐츠의 효용도 빠르게 검증할 수 있었어요. 이렇게 콘텐츠 제작과 성과 측정이 단절되지 않고 하나의 흐름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런드리고는 타깃 고객에게 다가가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을 찾기 위한 실험을 더 린하게 해볼 수 있었습니다. 


마케팅 콘텐츠에 넛지 장치를 자연스럽게 녹인 방법

✅유저 설득과 전환이 일어나는 결과 페이지를 다채롭게 구성하기

런드리고의 콘텐츠는 브랜드와 고객 사이를 이어주는 역할이었던 만큼, 런드리고 서비스 이벤트 관련 내용이 담긴 결과 페이지까지 많은 유저를 도달시켜야 했습니다. 즉, 자신의 결과를 궁금해하는 유저가 많아야 한다는 의미죠. 다양한 유형의 결과가 있어야 테스트를 접한 사람들이 호기심을 가질 것이라 판단한 런드리고는 MBTI 로직에 맞춰 총 16개의 결과 페이지를 제작했습니다. 

그리고 각 결과 페이지에는 직장인 유형에 대한 설명과 런드리고 이벤트에 대한 설명까지 다양한 에셋을 추가하여 다채롭게 구성했어요. 유저가 이탈 없이 내용을 살피고, 연계 이벤트까지 참여할 수 있도록 최대한 부드럽게 유도했죠.

✅SNS 연계 이벤트를 통해 콘텐츠 노출과 유입까지 한 번에 견인하기

런드리고는 공식 SNS 채널을 적극 활용해 콘텐츠를 배포했습니다. 콘텐츠 속 메인 캐릭터가 해당 콘텐츠를 출근길에 플레이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귀엽게 참여를 이끌어 냈죠. 앱 다운로드 유도에 시너지를 낼 수 있도록 SNS 바이럴 이벤트도 함께 진행했습니다. 테스트 결과를 해시태그와 함께 인스타그램에 공유하면 런드리고 구독권을 주는 방식이었어요. 이런 플로우를 통해 콘텐츠의 노출과 유입을, 다운로드 유도까지 한 번에 이끌어 낼 수 있었습니다.


이처럼 런드리고는 스모어 콘텐츠를 통해 타깃 고객에게 즐거운 방식으로 다가가 서비스를 알렸어요. 바쁜 일상 속 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데 성공했고, 콘텐츠 참여가 실제 전환으로 이어지는 성과도 확인했죠. 런드리고는 앞으로도 흐름이 짧고 빠르게 유저 반응을 테스트할 수 있는 실험형 콘텐츠 중심으로 스모어를 활용할 예정이라고 전했습니다. 

여러분도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가닿는 메시지를 인터랙티브 콘텐츠로 전해 보세요!

지금 무료로도 시작할 수 있습니다.